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퀀트 투자/투자의 기초

투자전략 성과지표

by Project Box 2022. 7. 6.
다양한 투자 전략 백테스팅 결과가 궁금하다면? : 파이썬 퀀트투자 전체 글목록(클릭)

직접 파이썬으로 백테스팅 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다면? : 파이썬 퀀트투자 유튜브 영상(클릭)

 

앞으로 다양한 투자전략을 살펴볼탠데, 어떤 투자전략이 좋은 전략인지 평가할 척도가 있어야합니다.

여기서는 CAGR과 DD라는 지표를 사용할 것입니다.

 

1. 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 (연평균 복리수익률)

특정 투자 전략의 수익률이 몇퍼센트다~ 라고 말할 때

사실 중요한 것이 한가지 더 있습니다.

투자엔 시간이라는 자원도 함께 들어갑니다.

똑같은 1% 수익률을 얻었다고 해도

이게 하루동안 얻은 수익인지, 1년동안 얻은 수익인지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죠.

투자 성과를 측정할 때 일반적으로 시간적 기준은 1년으로 봅니다.

그래서 몇년간 투자했던간에 최종 수익률을 연평균화 해서 1년에 어느정도 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얻었는지 알 수 있고.

기준이 같기 때문에 다른 투자 전략과도 비교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CAGR을 계산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습니다.

투자 수익률를 계산할 떄는 복리 개념이기 때문에, 흔히 알고 있는 산술평균이 아니라 기하평균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산술평균 = 합의 평균
기하평균 = 곱의 평균

1년차 수익률 5%,
2년차 수익률 10%

2년 투자 기간동안의 연 평균 수익률 k라고 했을 때..

k =  √(0.05∗0.1) => 약 7.1%

 

 

2. DD, Draw Down (하락폭)

투자 성과를 최종 수익률만 보고 판단하기 쉬운데,

사실 수익률 말고도 중요한 지표가 한가지 더 있는데요.

그것은 바로 어느정도 하락한 이력이 있는 투자전략인지 살펴보는 것입니다.

왜 이런 하락폭을 아는게 중요할까요?

만약 투자 기간동안 50%가 빠진적이 있는 투자전략이라면,

투자자의 심리적 타격도 있기 마련이고, 때문에 손절하고 투자를 중단할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심리적인 이유 외에도

주가는 복리로 움직인다는 특성 때문에 한번 크게 손실이 나면 원금 복구에 필요한 시간이 오래걸릴 수 있습니다.

손실률(%) 원금 복구에 필요한 수익률(%)
1 1
10 11
20 25
30 43
40 67
50 100

예를들어 100원에서 50%손실이 나면, 50원이 되고.

50원이 다시 100원으로 원금 복구가 되려면 100%, 즉 2배의 상승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낙폭은 가능한 낮을수록 좋습니다.

 

 

3. MDD, Max Draw Down (최대하락폭)

MDD는 말그대로 DD(하락폭)에서 최대값을 의미합니다.

MDD가 클수록 심리적 타격도 크고, 원금 복구에 필요한 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에 최대한 낮은게 좋겠죠?

 

결론

  • 수익률은 1년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 이를 연평균 복리수익률이라고 하며, CAGR이라고 부른다.
  • 하락폭은 투자기간 중 어느정도 하락했는지에 대한 지표다.
  • 하락폭이 크면 심리적인 타격도 크고, 원금 복구에 필요한 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에 하락폭은 최대한 낮은게 좋다.
  • 하락폭의 최대값을 MDD라고 한다.

 

다양한 투자 전략 백테스팅 결과가 궁금하다면? : 파이썬 퀀트투자 전체 글목록(클릭)

직접 파이썬으로 백테스팅 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다면? : 파이썬 퀀트투자 유튜브 영상(클릭)